추석 지방 쓰는법, 제사 지내는법, 차례상 음식 순서, 차리는법, 주의사항

추석 지방 쓰는법, 제사 지내는법, 차례상 음식 순서, 차리는법, 주의사항

설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원단, 세수, 원일, 신원, 정초라고도 부른다. 설은 한해가 시작되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 발을 내딛는 아주 뜻 깊은 명절로 현재까지 이어져 왔다. 그래서 설날을 이라고 해서 이 날에는 바깥 출입을 삼가 하고 집안에서 지내며 일년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낼 수 있게 해 주기를 신에게 빌어 왔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새해 아침에 입는 새 옷인 설빔 을 입고 죽은 조상들께 절을 드리는 차례를 지내고 그런 다음 나이가 많은 어른들부터 새해인사 세배를 합니다.

세배를 할 때에는 새해 첫 날을 맞아서 서로의 행복함을 빌고 축복해 주는 덕담을 주고 받는다. 이렇듯 새해첫날은 하루종일 복을 빌고 좋은 말을 많이 해 왔다.


설날 차례 지내는 순서
설날 차례 지내는 순서

설날 차례 지내는 순서

설날 차례 지내는 방법은 강신, 참신, 현주, 삽시정서, 시립, 사신, 철상, 음복의 순으로 올립니다. 강신 제주가 향을 피운 다음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신주를 모실 경우,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합니다. 묘지에서는 모삿 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합니다. 참신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헌주는 술을 제주가 올립니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입니다. ·삽시정서 : 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한 후 일동이 잠시동안 공손히 서 있는 ”시립”을 합니다. 다음 ”사신” 수저를 거두고 뚜껑이 있자면 덮습니다. 일동이 2번 절합니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십니다.

충청도는 그 안에서도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경북 인접에서는 건어물이 올라게 되며, 호남 인접에는 가자미, 낙지 등이 올리며 여러 특징이 있습니다. 경상도는 우리나라 남동쪽에 있었으나 문어 숙회나 고등어가 올라오기도 하고 소고기 무국에 고춧가루를 풀어서 얼큰하게 먹어요. 제주도는 수산물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지역 특수한 성질이 반영되지만 하지만 빵, 빙떡, 생선 국 등이 올라간다. 경기도는 녹두전이 느는 경우가 있고, 생선이 많이 올라가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강원도는 산간지방으로 나물, 감자와 같은 음식이 올라간다. 전라도는 홍어가 느는 경우가 많습니다.고 합니다. 그 외에 병어, 꼬막, 낙지와 같은 음식도 올라가는게 특징이라고 합니다.

할아버지 지방 쓸때
할아버지 지방 쓸때

할아버지 지방 쓸때

할아버지는 나타날 현자 아래에 할아버지 조조상조 글자가 추가됩니다. 어머니의 엄마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할아버지 지방 쓰는 법은 한글로 읽자면 현조고학생부군신위입니다. 어머니의 엄마 지방 쓰는법은 역시 한글로 읽을때 현비유인함안조씨신위라고 씁니다. 할머니나 어머니든 본관을 쓰시면 됩니다. 학생부군이라는 뜻은 벼슬을 하지 않았던 평범하신 분들을 학생부군이라고 칭합니다.

프린터로 인쇄할때
프린터로 인쇄할때

프린터로 인쇄할때

시대가 변하면서 지금은 프린터로 인쇄를 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여러장을 인쇄해서 보관하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 때에는 아래 첨부한 양식을 다운받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만, 그냥 A4용지에 인쇄하기보단 A4사이즈의 한지를 구입해서 인쇄하면 어떨까 합니다. 문구점에서 파는 한지는 여러 종류가 있었으나 아래 사진 참고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광고로 오해하실것 같아 회사이름은 가리고 공유드립니다.

설날 지방쓰는법

지방은 한지백지를 사용하며 폭 6에 길이 22 정도의 규격이 적당합니다. 글자는 보통 먹으로 쓰며 글씨는 세로쓰기로 위에서 아래로 적는다. 지방에는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는다. 먼저 부모일 경우 아버지고위를 왼쪽, 어머니비위를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 중앙에 적으면 됩니다.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는 아버지인 경우 고, 어머님 비, 조부 조고, 조모는 조비입니다.

각 글자 앞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인 현을 씁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는 현고(顯考)라고 적으면 됩니다. 다만 여성은 ”현(顯)”을 쓰지 않고 ”망실(亡室)” 아니면 ”고실(故室)”이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직위와 이름은 고인이 남성이라면 모두 ”학생부군(學生府君)rsquo;이라 씁니다. 여성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인(孺人)”이라 쓰고 뒤에 본관과 성씨를 씁니다.

자주 묻는 질문

설날 차례 지내는 순서

설날 차례 지내는 방법은 강신, 참신, 현주, 삽시정서, 시립, 사신, 철상, 음복의 순으로 올립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할아버지 지방 쓸때

할아버지는 나타날 현자 아래에 할아버지 조조상조 글자가 추가됩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프린터로 인쇄할때

시대가 변하면서 지금은 프린터로 인쇄를 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