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주거급여 신청자격과 신청방법까지
모르고 신청하지 않으면 월세는 최대 64만 원, 자가는 1,241만까지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을 못 받으실 수 있는데요, 보통 기초생활 수급자만 신청자격이 있다고 아시지만 2024년 주거급여 신청자격 기준이 대폭 낮아지면서 평범한 1인 가구의 직장인, 수입이 없는 무직자, 대학생, 자녀가 있는 부모님도 모두 혜택을 받으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주거급여 신청을 위해 본인의 소득인정액을 계산하여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는 신청자격이 되는지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2024년 주거급여 지급 가능여부 및 그야말로 지원받는 주거급여 금액을 미리 확인해볼 수 있으니 아래 링크를 통해 지금 바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거급여 분리지급의 지원 내용과 산정 방식
1. 지원 내용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은 부모와 청년 가구 각각의 거주지와 가구원 수에 따라 산정한 기준임대료를 상한으로 실제 임차료를 지급합니다. 자기 부담분은 분리된 가구 각각의 가구원 수에 비례하여 적용됩니다. 2. 산정 방법 부모 가구 급여액 1. 부모 가구 임대료에서 자기부담분을 뺀 금액을 계산합니다. 2. 이때, 전체 가구 소득인정액에서 전체 가구 생계급여 기준액을 뺀 후, 부모 가구원 수 비율과 30를 곱합니다.
청년 가구 급여액 1. 청년 가구 임대료에서 자기부담분을 뺀 금액을 계산합니다. 2. 이때, 전체 가구 소득인정액에서 전체 가구 생계급여 기준액을 뺀 후, 부모 가구원 수 비율과 30%를 곱합니다.
주민센터 직접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직접 방문 신청 시 제출할 서류를 준비하셔서 담당 공무원 상담 후 제출하시면 됩니다. 주거급여 지급일자는 매월 20일에 지원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지원금액은 크게 2가지로 지원자 거주지역과 본인 소득인정액의 중위소득 비율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우선, 거주지역에 따른 지원금액을 아래 표에 따라 확인해 보신 후 소득인정액 중위소득 비율이 30가 넘을 경우 자기부담금을 차감하시고, 30 이하일 경우에는 아래 지급금액과 실제 임대료를 비교하여 낮은 금액을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방법
첫째 온라인 신청 전 미리 구비해 놓을 서류가 있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온라인 신청 전 구비 서류 목록 구비서류를 온라인으로 첨부하실 때는 이미지 파일 등록만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휴대폰으로도 충분히 스캔하여 이미지 등록을 할 수 있으니 휴대폰으로 스캔하셔서 쉽게 구비서류를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통장사본 전월세 계약서 사용대차 확인서 부채증명원 등등 부채 증빙서류 집 주인들이 확인한 사용대차 확인서 친지 아니면 타인의 주택에 무상으로 거주하는 경우 가족관계등록부 주거급여의 온라인 신청은 첫째 로그인 서비스 신청 복지 급여 신청으로 이동합니다.
이후 아래로 내리시다.
청년 주거급여 지원
2021년부터는 주거급여 수급 가구 내에서 부모와 떨어져 사는 청년에게도 주거급여를 분리하여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임차급여 아니면 수선유지급여를 지급받는 수급 가구 내에서 만 19살 이상 30세 미만의 미혼 자녀가 청년 대상이 되며, 청년이 임대 계약 거래를 체결하고 임차료를 지불하는 경우에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이때, 전입신고는 필수로 요구되며, 주거급여 수급 가구의 부모와 청년이 주민등록상 시,군을 달리하는 경우에도 인정되지만, 동급 시,군이라도 보장기관이 인정하는 경우는 예외로 적용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청년층의 자립을 돕고, 그들의 주거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소득인정액
소득인정액이란소득평가액 재산의 소득환산액입니다. 쉽게 말해서 재산과 소득을 합산한 금액을 말합니다. 월급, 임대료, 자동차, 주택 등등 재산을 모두 계산합니다. 이제부터 소득인정액 모의계산기로 바로 확인가능합니다. 1. 전월세2. 자가기준지원금액은 전월세인지, 자기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전월세 지원액은 소득인정액이 생계급여기준보다. 낮은 경우 최대범위에서 전액 지원이 되며,소득인정액이 더 높은 경우 자기 부담금액만 빼고 지원됩니다.
자가인 집은 집 수선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해 줍니다.
주거급여란
주거급여는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와 같이 주거 복지에 어려운 분들과 집을 갖고 있더라도 소득인정금액에 따라 중위소득 48까지 주거급여를 지급하여 주거안정을 혜택을 지요구하는 제도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주거급여 분리지급의 지원 내용과 산정
1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주민센터 직접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직접 방문 신청 시 제출할 서류를 준비하셔서 담당 공무원 상담 후 제출하시면 됩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신청 방법
첫째 온라인 신청 전 미리 구비해 놓을 서류가 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