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크레딧 제도 활용하여 가입기간 인정 받는 방법(군복무 크레딧, 출산 크레딧, 실업 크레딧_

국민연금 크레딧 제도 활용하여 가입기간 인정 받는 방법(군복무 크레딧, 출산 크레딧, 실업 크레딧_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숫자 뺀 맹탕 국민연금 개혁안, 이러고 정부 비판할 수 있나 퇴직 후 일해도 국민연금 안 깎인다. . 감액 제도 폐지 진행 앞으로는 퇴직 후 재취업을 해 소득을 벌더라도 국민연금 수령액이 깎이지 않습니다. 보건복지부는 27일 경제활동을 하는 노령연금 수급자의 연금액을 감액하는 제도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지금은 노령연금 수급자가 전체 가입자의 3년간 월평균 소득 이상을 벌면 연금액을 깎고 있습니다. 올해는 월 286만1091원이 기준으로, 이보다.

많은 세후 소득을 벌면 노령연금이 깎이기 시작합니다. 적게는 10원, 많게는 100만원 넘게 깎인다. 삭감의 상한선은 노령연금의 50이고, 감액 기간은 최장 5년입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국민연금 종합 운영계획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imgCaption0
추가납부 보험료 금액

추가납부 보험료 금액

추납보험료는 추납을 신청하게 되는 그 당시의 연금보험료에 추납하고자 하는 기간의 월수를 곱한 금액으로 합니다. 수익이 있는 분들은 소득액에 따라, 임의가입자들은 자신이 선택한 임의가입 보험료 수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만, 추가납부 시에 임의가입자가 하는 추납은 보험료 상한선이 있어 A값(2023년 기준 2,861,091원)의 9% 까지만 가능합니다. 지나친 추납을 제한하기 위해 입니다.

왜 10대 자녀가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하나?

국민연금은 무요건 가입기간이 길어야 연금수령액이 많습니다.는 것은 이제 두번 이야기하면 잔소리입니다. 과거 한국나이로 20세만 18세에 가입을 해두면 직장을 잡아 수익이 발생하는 시기까지는 어쩌면 78년 더 길게는 10년 정도 갭이 발생하겠지요. 그 10년이라는 국민연금 추가납부가 가능한 기간을 미리 확보해 놓고 자녀가 여유가 있을 때마다. 조금씩 추납을 하면 연금수령시기에 이르러 그렇게 하지 않은 다른 자녀들과의 차이는 실로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혹시 나중에 수입이 있어 열여덟살 것부터가 낸다추납고 하면 되지 않나? 하시는 분들이 있을까봐 말씀드립니다. 추납은 1개월 이라도 납부한 전력?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최대 추가납부 가능 개월수

과거에 강남 사모님들이 연금수령 직전에 몇 십년분을 일시에 납부하는 과다한 연금재테크를 방지하기 위해 몇 년전에 최대 119개월분10년까지만 납부가 가능하도록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왜 119개월까지인지 궁금하신가요? 총 추납가능월수는 120개월이지만 1개월이라도 연금가입이 되어 있어야 추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잔여 119개월까지만을 최대한도로 산출하고 있습니다.

신청가능자는?

1988년 국민연금이 생긴 이후 군대에 다녀오신 분들 이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공단에서 알아서 챙겨주는 것이 아니라 저희가 먼저 공단에 신청해야 합니다. 군복무크레딧과 다른 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추납을 하려면 보험료 납입이 1회라도 이미 되어 있어야 추납이 가능한데, 군복무기간 추납만은 예외적으로 연금가입이 되기 전인데도 불구하고 추납을 인정해 주는 특정 제도입니다.

출산 크레딧

국민연금 가입자 혹은 가입자였던 사람에게 둘째 자녀 이상부터 일정 기간을 국민연금 가입기간에 추가로 인정해 줌으로써 출산율을 장려하는 것은 물론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축소하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출산을 장려하는 출산크레딧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출산크레딧은 2008년 1월 1일 이후에 둘째 자녀 이상을 얻은 경우부터 적용되며, 자녀가 2명 이상인 국민연금 가입자 혹은 가입자였던 사람이 노령연금 수급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최장 50개월을 한도로 국민연금 가입기간에 추가로 산입 됩니다.

부모 모두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있다면, 출산으로 인해 추가되는 가입기간은 합의를 통해 부모 중 한 사람에게만 추가하거나 부모 모두에게 균등하게 나누어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군복무크레딧 수급자격

2008년 1월 1일 이후에 입관하여 병역의무를 이행한 사람에게 6개월이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인정해 주는 제도입니다. 이는 군복무 기간 중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못한 사람에게 군복무 기간 일부를 가입기간으로 인정하여 노령연금 수급 기회를 확대하거나 노령연금 수령액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국가에서 전부 부담하고 있습니다. 다만, 군복무기간의 전부 혹은 일부가 공무원연금법 혹은 군인연금법 등의 타공적연금 재직복무 기간에 산입되는 경우에는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군복무크레딧 인정대상 현역병, 전환복무자, 상근예비역, 사회복무요원, 국제협력봉사요원, 공익근무요원 등 이번에는 에 관련해서 자료를 해 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른 자료를 더 보길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제안 게시물 및 관련글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추가납부 보험료 금액

추납보험료는 추납을 신청하게 되는 그 당시의 연금보험료에 추납하고자 하는 기간의 월수를 곱한 금액으로 합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왜 10대 자녀가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국민연금은 무요건 가입기간이 길어야 연금수령액이 많습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최대 추가납부 가능 개월수

과거에 강남 사모님들이 연금수령 직전에 몇 십년분을 일시에 납부하는 과다한 연금재테크를 방지하기 위해 몇 년전에 최대 119개월분10년까지만 납부가 가능하도록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